[팩트신문 = 이상혁 기자]
정부는 강원도 강릉시에 지난 8월 30일 가뭄재난사태를 선포했다. 초대형 저수지인 오봉저수지 수위가 15% 이하로 곤두박질치며 농작물 피해는 물론, 시민들이 단수와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어려운 상황속에서 인근 지자체의 소방차와 인력까지 동원되어 급수를 이어가는 중이다. 그만큼 위중한 재난의 현장이다.
그러나 같은 날, 구미시 바르게살기운동본부 회원 70여 명은 강원도로 향해 레프팅과 여행을 즐기고 돌아왔다. 회원간 결속을 다지는 기회 자체가 문제라 할수는 없으나, 시기와 처신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연간 1억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으나 지난 3월 경북 산불 사태, 7월 경남 홍수 사태에서도 회원들이 현장으로 대민 지원에 나선 적이 없다는 사실이 시민들에게 알려지며 더욱 큰 빈축을 사고 있다.
구미시 한국자유총연맹의 행태는 한수 더뜬다. 지난 6월, 국가적 혼란 속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 직후, 무엇이 즐거운지 이들은 백두산 여행을 다녀왔다. 순수 회원뿐 아니라 외부인까지 참여했다는 제보가 이어졌고, 비용의 절반을 보조금으로 충당했다는 점이 알려지며 비난 여론은 커지고 있다. 이 단체 역시 올 한해 대형 재난 앞에서 단 한 차례도 대민 지원에 나서지 않았다.
문제는 이런 행태가 기가막힌 일탈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보조금은 본래 지역사회의 공익과 봉사에 쓰여야 한다. 그러나 정작 재난 앞에서는 잠잠하고, 여행과 유흥에는 거리낌 없이 집행되는 현실이 이어진다면 시민의 분노는 불가피하다.
구미시와 해당 단체들은 보조금이 법으로 정해져 있다는 이유만으로 방만하게 집행하고 스스로를 합리화할 수 있다고 착각해서는 안된다.
지금도 묵묵히 땀 흘리며 지역을 위해 봉사하는 시민단체와 개인들이 있다. 그들과의 형평성, 그리고 무엇보다 시민의 신뢰를 생각한다면 이런 정신 나간 활동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보조금은 특권이 아니라 책임이다.
구미시는 즉각 관련 단체들의 행태를 점검하고, 잘못된 보조금 집행에는 철저한 제재와 환수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것이 시민의 분노를 풀고, 공공의 상식을 바로 세우는 최소한의 길이다.